Untitled Document
 
연구소소개 |연구사업 |학술회의 |소식/안내 |자료실 |동영상/갤러리 |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월요논단] 밥 예찬론 - 식품외식경제
[ 2013-01-28 15:07:34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3248        
링크 #1  
http://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883 , Hit: 1550
[월요논단] 밥 예찬론


이철호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이사장


나는 식당을 선택할 때 특히 밥맛이 좋은 집을 고른다. 쌀밥 특유의 고소한 향기와 윤기가 자르르 흐르고 적당히 차진 밥은 다른 어떤 반찬보다 나의 식욕을 돋우고 한 끼 식사의 만족감과 쾌감을 준다. 학교 근처에 이런 집이 있다. 도자기로 만든 품격 있는 밥주발에 밥솥에서 갓 퍼낸듯한 향긋한 밥 한 사발에 맛깔스런 김치와 각종 반찬이 고루 나온다. 밥의 양에 맞춰 반찬을 고루 먹으면 남는 음식이 별로 없다. 이 집은 내부 장식도 과하지 않으면서 고급스런 품격이 있어 손님이 끊이지 않는다.


밥맛과 김치 맛이 좋은 식당을 골라 찾아가는 것이 나의 식도락이지만 가끔 급한대로 아무 식당에나 들어가면 영낙없이 기분이 상해 나온다. 우선 싸구려 스테인레스 주발에 언제 퍼 담았는지 모를 밥을 스티로폼으로 만든 보온통에서 꺼내 가져다주는 것을 보면 식욕이 싹 가신다. 심한 경우는 그릇 가장자리에 꾸둘꾸둘 굳어있는 밥이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고기를 많이 먹게 할 요량으로 그릇에 반도 차지 않는 밥그릇을 대할 때면 허탈감마저 느낀다. 밥을 마치 기름진 음식을 먹기 위한 부식 정도로 취급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언제부터 밥을 이렇게 홀대하게 되었는지 생각해 보았다. 그 시작은 아마도 6·25전쟁을 겪으면서 극심한 식량난으로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에 의존하면서부터라고 생각된다. 전쟁의 극한 상황에서 우유죽 배급으로 허기를 면하면서 유당불내증이 심해 우유를 먹지 않던 민족이 우유를 먹는 민족으로 바뀌었고, 전후의 식량부족 사태를 분식장려 정책으로 넘기면서 밀가루 음식이 보편화되었다. 그 시절 많은 영양학자들이 밀가루 음식의 우수성을 홍보하기도 했다. 그 결과 1970년~80년대에 빵과 라면, 서양식 과자의 소비가 급격히 늘었다.


두 번째 밥의 수난은 통일벼의 보급이었다. 재래종보다 30% 이상 증수되는 통일벼를 개발하여 쌀 자급의 숙원은 풀었으나 인디카계열 장립종을 모본으로 개발한 통일벼는 부슬부슬한 안남미에 가까운 밥맛으로 소비자들의 밥에 대한 기호를 크게 떨어뜨렸다. 1980년~90년대에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육류와 우유류의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맛없는 밥 대신 고기와 기름진 음식을 더 먹게 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통일벼 생산을 중단하고 새로 육종한 단립종 다수확 품종으로 대체하였으나 잘못 들어선 소비자들의 식습관을 되돌리지 못했다.


2000년대에 들어와 기름진 동물성식품의 과잉 섭취로 비만과 성인병 환자가 크게 늘어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그런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쌀밥을 적게 먹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대단히 잘못된 생각이다. 오히려 쌀밥의 양을 늘리고 육류와 기름진 음식, 쥬스와 커피, 청량음료 같은 단 음식을 줄여야 한다. 쌀밥으로 배를 채워 식염과 콜레스테롤, 포화지방 등 몸에 해로운 성분이 많은 고기반찬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 실제로 쌀의 소비량이 줄면서 비만율과 성인병 환자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미국 듀크 의과대학에서는 ‘쌀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70년째 운영하고 있다.


다이어트를 위해 쌀밥의 섭취량을 줄이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것이다. 고기와 기름진 음식을 잔뜩 먹고 나중에 쌀밥을 조금 먹는 것으로 위안을 삼는 식습관은 대단히 위험하고 건강에 나쁜 식습관이다. 충분한 양의 쌀밥과 반찬을 고루 놓고 균형 있는 식사를 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쌀밥은 염분이나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이 거의 없고 비교적 낮은 열량과 적당한 소화 흡수속도를 가진 순수한 음식이다. 다이어트를 위해 주스나 커피, 청량음료 대신 순수한 물을 마시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쌀밥에 김치와 콩반찬(두부, 콩나물, 된장찌개), 그리고 숭늉을 마시는 식습관은 우리가 물려받은 최고의 건강 식사법이다.


우리의 건강을 지키고 건전한 삶을 살기 위해 우리가 물려받은 식습관을 지켜나가야 한다. 외식업계가 먼저 이 일에 앞장서 주기를 바란다. 밥의 섭취량을 늘리기 위해 밥맛이 좋은 쌀을 구입하고 맛이 좋은 밥과 김치로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식당이 많아지기를 바란다.



15/18, 총 게시물 : 341
61 우리쌀 바로 알자 - 세계 식품과 농수산 2월호 관리자 2013-02-15 116 3934
60 <월요논단> 최초의 식품법 위반자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3-02-12 116 3551
59 [기고]식품의약품안전처를 ‘소비안전처’로 하자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1-31 116 3623
[월요논단] 밥 예찬론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3-01-28 116 3249
57 [기고] 농림축산식품부를 제안한다-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1-23 117 3726
56 농림축산식품부를 제안한다.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1-22 117 3291
55 [기고]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해야 할 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1-21 117 3766
54 [특별기고] 해외곡물시장 전문가를 키워야 한다 - 해외곡물시장동향(2012 제1권 제4호) 관리자 2013-01-11 4482 3486
53 [월요논단] 고도의 과학기술시대에 산다는 것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2-12-18 116 3317
52 식품안전관리의 권한과 책임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2-12-11 116 3518
51 INFOSAN Asian Meeting 관리자 2012-11-29 4968 3261
50 식량안보와 흙 살리기 - '흙을 살리자' 심포지엄 관리자 2012-11-09 1528 3335
49 국회의원 말 한마디에 곤두박질치는 식품행정-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2-11-06 116 3574
48 세계 식량위기의 원인과 해법 - 세계 식품과 농수산 (FAO 한국협회) 관리자 2012-11-06 2522 19711
47 소비자가 알아야 할 식량문제 - 월간 소비자(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관리자 2012-11-06 1391 3512
46 <월요논단> 주몽을 탄생시킨 술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2-11-02 116 4151
45 우리나라의 식량 안보 - 신앙신보 관리자 2012-11-02 116 5334
44 <월요논단> 동이족(東夷族)과 콩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2-10-17 116 3567
43 <세상의 모든 지식> - KBS 1라디오 관리자 2012-10-17 902 3703
42 세계 곡물 파동과 한국의 대응방안 – 한국식품산업협회 사보 관리자 2012-09-28 1421 3448
첫 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