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콩세계과학관 추진 경과 및 비전
[ 2015-05-26 09:59:53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3659        
다운로드 #1  
Abstract,_Soyworld_Science_Museum.pdf ( 63 KB ), Down: 10808
다운로드 #2   
Vision_of_Soyworld_Science_Museum.pdf ( 1 MB ), Down: 3847

콩세계과학관 추진 경과 및 비전

이철호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콩세계과학관 건립추진위원장

  1998, 한국식품연구원을 창설하시고 초대원장을 지낸 인제대 권태완 교수님, 경희대 권신한 교수님,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장을 지낸 홍은희 박사님, 그리고 제가 대산농촌문화재단의 지원으로 한국에 국제규모의 콩박물관 건립에 관한 타당성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콩의 기원은 남만주와 한반도이고 콩을 식품으로 최초로 사용한 사람들은 한민족의 조상인 동이족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이 땅에 콩박물관을 건립할 꿈을 갖게 되었다.

콩의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추정이 있으나 식물학자들은 가장 많은 야생종이 발견되는 남만주와 한반도가 콩의 원산지라고 믿는다. 많은 탄화콩들이 신석기후반(BC 2000)과 초기 청동기시대(BC 1500)의 한반도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다. 대한해협(Korea Strait) 연안에서 시작된 원시토기문화시대(BC 6000)에 이미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에서 발효기술이 시작되었다고 판단되므로, 콩을 식용으로 사용한 이른 시기부터 콩을 발효할 수 있는 기술적 배경이 갖추어져 있었다고 본다.

중국의 고서관자(管子에 의하면 콩은 BC 7세기경 제()나라의 환공이 산융(山戎)을 정복할 때 남만주로부터 중국에 가져온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콩식품과 콩발효식품에 대한 기록들은 중국 한()나라 시대(BC 202-AD 220) 문헌이나 유적에서 발견된다. 콩이 식품으로 일본에 전파된 것은 AD 3세기경 한국으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추정되며, 동남아시아 국가들로는 중국으로부터 AD 4-7세기경 전파된 것으로 여겨진다. 유럽과 북미로 전파된 것은 18-19세기였다.

콩과 콩식품의 기원지인 한국에 콩박물관을 설립하고자 하는 것은 식품학계와 관련 산업계의 숙원과제였다. 그리하여 20011, 권태완 박사님을 중심으로 콩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가 결성되었으며 박물관 건립 장소를 물색하는 일과 기금 모금이 시작되었다. 한편으로는 박물관에 전시할 내용을 문헌 고증을 통해 확보하기 위해 콩 관련 책을 저술하기로 뜻을 모아, 마침내 2005(大豆, Soybean)’이 고려대학교 출판부에 의해 출간되기에 이르렀다. 여기에는 15(17명의 저자), 794페이지에 걸쳐 콩의 역사. 고고학적 자료, 육종과 재배, 식품가공과 영양, 산업적 용도 등이 망라되었다. 이 책이 콩세계과학박물관의 기초가 되었다. 20084월에는 사이버 콩세계박물관과 홈페이지(www.soyworld.org)가 개설되었다.

200812, 영주시에 콩세계과학관을 설립하기위한 MOU가 한국콩연구회와 영주시 사이에 체결되었다. 20095월 콩세계과학관 건설기본 계획을 위한 프로젝트가 영주시에 의해 발주되었으며, 전시내용을 담은 콩스토리텔링 작성 사업이 건립추진위원회의 지원으로 이루어 졌다.

20132, 콩세계과학관 기본 디자인이 완성되었고 3월에 박물관 건물 착공식이 열렸다. 20149월 마침내 전시실, 체험실, 콩생육장이 완성되었다. 특별히 콩생육장은 정식품의 설립자인 정재원 명예회장께서 기금을 지원하여 이루어졌다. 콩세계과학관 건립추진위원회는 박물관이 건축되는 전 과정에서 전시 컨텐츠의 감리 감독을 맡았다.

그러면 왜 영주에 콩세계과학관이 설립되었는가? 첫째, 영주는 부석태의 고향이다. 전통 콩 품종 중 부석태는 영주의 유명한 사찰 부석사에서 그 이름이 유래하였다. 둘째, 영주시는 박물관 유치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영주시는 박물관 부지를 제공하였고 건설과정을 총괄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영주시가 과학박물관을 짓는데 지원하였다. 박물관의 명칭이 콩세계과학관이 된 이유이다. 박물관을 둘러싼 부석사와 소백산국립공원의 아름다운 전경은 영주에 콩세계과학관이 들어선 또 다른 중요 요인이다.

영주에 건립된 콩세계과학관은 세 개의 주요 비전을 가지고 있다. 첫째, 박물관은 앞으로 건립될 콩 테마타운의 센터가 될 것이다. 콩 테마타운은 콩가공기업이나 콩과 관련한 푸드 코트나 식당, 콩 문화 활동의 중심이 될 것이다. 영주시는 이미 콩 테마타운 건립을 위하여 충분한 부지를 확보하였다. 둘째, 콩세계정보센터(Soyworld Information Center)를 박물관 내에 두어 운영할 것이다. 콩세계정보센터는 한국콩연구회와 협력하여 국내외 콩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확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콩세계과학관은 국제규모의 콩연구센터(International Soybean Research Center)를 영주에 유치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UN국제콩연구소 설립에 대해서는 현재 논의 중이다. 이는 또한 장욱현 현영주시장의 공약사항이기도 하다. 이 과제의 실행 기구는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등이 관여하는 한국정부가 되어야 할 것이지만, 영주시는 기꺼이 초기 유치 작업을 주도하고 태스크 포스팀에 참여할 계획이다. UN산하 국제콩연구소 설립을 위한 실행가능성 연구, 국가와 지방정부의 재정문제, 연구소 위치, UN FAO와의 접촉 등 유치에 필요한 업무들이 포함될 것이다.




10/18, 총 게시물 : 341
콩세계과학관 추진 경과 및 비전 관리자 2015-05-26 10808 3660
160 한국 사회의 노블리스 오블리제 - CNB저널 관리자 2015-05-26 120 3217
159 식품안전과 내부고발의 힘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5-11 120 3056
158 춘궁기(春窮期)를 기억하십니까? - CNB저널 관리자 2015-04-17 118 3128
157 식품학의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4-13 118 3171
156 밥상머리 교육을 부활시키자 - CNB 저널 관리자 2015-04-03 118 3040
155 무너진 사회기강 아이들의 먹을거리도 망친다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3-10 121 3453
154 첨단 생명공학기술이 창조농업혁신을 만든다 - CNB저널 관리자 2015-03-09 121 3450
153 밀가루의 누명 - 추천의 글 관리자 2015-03-03 1489 3115
152 첨단 생명공학기술을 적극 수용하는 농업혁신정책이 필요하다. - 농업혁신포럼 토론문 관리자 2015-02-26 118 3349
151 통일 위한 남한의 영세민 쌀쿠폰 무상지원 제도 - CNB저널 관리자 2015-02-12 118 3433
150 세계 식량위기 극복 방안 ‘생명공학’ 뿐이다 - 대한급식신문 관리자 2015-02-11 118 3537
149 보리의 재발견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2-04 119 3181
148 [신년사] 정의로운 사회가 되는 해가 되길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1-21 1026 2996
147 밀가루만큼 연구돼야 쌀혁명 가능 - CNB저널 관리자 2015-01-16 118 3562
146 [신년사]통일 대비 식량문제 힘 모아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5-01-12 118 2959
145 국산 콩을 살리자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1-08 118 3007
144 식량낭비 줄이면 15조 비용 절감 - 대한급식신문 관리자 2014-12-15 118 3141
143 통일쌀 한톨에 숨은 경제학 - the Scoop 관리자 2014-12-15 118 3194
142 콩과 한국인의 밥상 - CNB저널 관리자 2014-12-15 118 3347
첫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