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GMO표시제 확대 놓고 '갑론을박' - 푸드투데이
[ 2013-07-11 14:35:07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9497        
링크 #1  
http://www.foodtoday.or.kr/news/article.html?no=105309 , Hit: 25313
GMO표시제 확대 놓고 '갑론을박'
소비자 알권리 VS GMO 유용성이 우선
 

영상 보기

푸드투데이 현장취재 류재형기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9일 오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 'GMO와 소비자
알권리' 토론회를 개최하고 유전자변형농산물인 GMO표시 확대 정책을 놓고 '갑론을박' 논쟁을
 펼쳤다.


이날 토론회는 장진영 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 운영위원장의 사회로 경규항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 김훈기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교수, 윤종복 인그리디언코리아 SCM부문 상무, 하정철
한국소비자원 식의약안전팀 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유전자변형, 유전자재조합, 유전자조작 등 관계 부처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용어에 대해서는 통일해야 한다는 것에 공감했다. 그러나 안전성에 관련해서는 견해차가 크게 엇갈렸다.


하정철 한국소비자원 식의약안전팀장은 "GMO는 모체가 되는 NON-GMO에 비교해 수백개에서
수천개의 돌연변이"라며 "현재의 안전성 평가로는 돌연변이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충분한
검정이 이뤄지지 않아 돌연변이에 대한 안전평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하 팀장은 "GMO로 만든 식품은 NON-GMO로 만든 식품과 성분 함량 자체가 다른 만큼 반드시
GMO 표시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훈기 서울대 기초교육원 교수 역시 "국내 상당량의 GMO가 수입되고 있지만 대부분 가공식품
원료나 축산물 사료로 사용되고 있고 현행 표시제로는 소비자들은 자신이 먹는것이 GMO식품임을
알지 못한다"라며 "GMO 표시를 확대해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GMO표시 확대는 시기상조론을 내세우며 GMO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우선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종복 인그리디언 코리아 상무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의 90%가
GMO에 대해 잘 모른다고 답했고 아는 사람 중 대부분은 GMO는 유해한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라며
 "표시 확대 이전에 GMO의 유용성을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상무는 또 "미국과 중남미에서는 현재까지 GMO가 안전하다는 견해가 대세"라고 밝혔다.
 

경규항 세종대 식품공학부 교수는 "표시제도에 있어 맞고 틀리고 정해진 규칙은 없으며 소비자와
생산자의 이익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돼야 한다"며 "결론적으로 GMO표시제는 국가의
전략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5월 미국 오리건주의 미승인 유전자재조합(GMO) 밀 논란 이후 GMO식품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관련 표시제 확대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하지만 식품업계가 물가 상승 등을
주장하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어 표시제 확대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151/191, 총 게시물 : 3809
809 스스로를 쥐똥나무라 부르는 역사와 인간, 나무사랑 이야기 - CNB 저널 관리자 2013-08-16 46 7931
808 중국, 밀 등 곡물 순수입국 전환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8-16 46 8452
807 쌀 소비촉진 연중캠페인 [미소365] 쌀 가공식품 ´전문 판매점´ 연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8-13 46 9679
806 쌀의 이중성과 현안 2題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8-13 46 6796
805 자원순환농업의 한 축, 남은음식물사료에 대하여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8-13 46 7149
804 단체급식업계, 쌀 소비 촉진위해 앞장 ‘눈길’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8-12 46 7101
803 불량식품 제조 최대 7년 징역형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3-08-05 46 8239
802 쌀 등급표시제 현실 반영이 중요하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8-05 46 7350
801 GMO 표시 범위 확대 필요한가 - 중앙일보 관리자 2013-07-26 46 11534
800 세계 인구의 반은 굶주린다 - 식품외식경제신문 관리자 2013-07-25 46 8084
799 쌀, 알고 보니 기능성 다양…비만 고혈압 치매 등 성인병 예방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7-23 46 11958
798 농식품부장관-업계 CEO 첫 간담회…관심집중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7-23 46 7823
797 세계식량 포럼 창립, 전남 식량위기 해법모색 - 아시아뉴스통신 관리자 2013-07-22 46 8893
796 식품업계 CEO들 농식품부 장관에 무슨 말 했나?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7-22 46 7188
795 일동후디스 승소가 의미하는 것 - 식품외식경제신문 관리자 2013-07-22 46 7230
794 식량안보에 대한 불편한 진실 - CNB저널 관리자 2013-07-15 46 7085
793 법원 “일동후디스 분유 유해성 과장, 환경단체 8000만원 배상해야” - 동아일보 관리자 2013-07-15 46 7709
GMO표시제 확대 놓고 '갑론을박' - 푸드투데이 관리자 2013-07-11 46 9498
791 “GMO 표시제, 국가전략 차원에서 검토해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7-11 46 8236
790 식량안보 총성없는 전쟁…中 폭발적 수요에 세계쌀시장 `출렁` 관리자 2013-07-10 46 7718
첫 페이지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