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식량무기 시대 대비하자 - 경북일보
[ 2013-05-24 16:35:46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9691        
링크 #1  
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622063&news_area=130&news_divide=13008&news_local=&effect=4# , Hit: 6359

식량무기 시대 대비하자


홍병선 농어촌공 예천지사장

식량이 무기인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투자전략가 '제이미 그랜섬'이 작년 네이처 지에 발표한 논문을 보면 "곡식생산량이 매년 1.2% 낮아지면서 이제는 2013년 인구증가율과 비슷해졌다"고 한다. 우리나라도2012년 11월의 농림식품부와 농협경제연구소 통계에 따르면 식량자급률(사료곡물 포함)이 지난 1990년 43.1%에서 2012년에는 22.6%까지 떨어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34개국 중 28위로 최하위 수준이며, 특히 22.6%의 자급률 중 쌀을 제외하면 그 외 곡물의 자급률은 불과 3.4%에 불과한 실정이다.


우리는 이 시점에서 어느 경제학자가 말한 "선진국은 농업국가다" 라는 말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캐나다 180%, 프랑스 174%, 미국 125%, 독일 124%, 영국 101%등 선진국들의 식량자급률은 100%를 넘으며, 우리와 여건이비슷한 일본의 경우도 40%의 자급률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세계인구의 절반이 주식으로 삼고 있으며 우리에게 있어서 삶 자체라고 말 할 수 있는 쌀의 자급률 역시 1990년 108.3%, 2005년 102%에서 2012년에는 83%까지 떨어졌다.


적절한 분배로도 기아문제가 제대로 해결되지 않아지고 있으며 식량난의 안전
지대가 사실상 없어져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식량안보 차원의 대책이 절실히 필요해짐에 따라 국가안보 차원에서 식량생산기반을 유지해야 한다. 과거 우리나라는 70년대 식량파동시 쌀가격이 300%이상 급등하였고 80년대 냉해발생 때에는 우리나라 곡물 수입시장으로 부터 평균 쌀가격 3배의 요구를 경험한 바 있다.


이처럼 식량생산기반이 미흡하여 식량자급율이 떨어져 수요와 공급을 통한 배분이 적절하게 이루어지 않을 때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그리고 식량자급율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차원에서 우량농지를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철저한 유지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수있다.


우리의 주 식량인 쌀을 생산하는 논 면적 중 농업수리시설을 이용하는 '수리 답'은 79만ha이며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그 중 52만ha(66%)를 관리하고 있고, 나머지 27만ha(34%)는 지자체에서 농지에 용수를 공급하는 농업기반시설 관리를 하고 있으며, 농업용수공급에 필요한 저수지, 양수장, 취입보, 수문, 관정 등 각종 농업기반시설물 중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13,374개의 88%인11,775개소가 30년 이상 된 것으로 노후화가 심각하다.


특히 저수지는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규모가 큰 3천370개소 중 30년 이상된 것이 2천900개소로 86%이고 45년 이상은 전체의 71%인 2,385개소로서 노후화로 인한 안전문제와 더불어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호우로 인한 재해피해 문제 또한 날로 커지고 있다.


또한 1만3천374개소 농업기반시설물 관리 및 99천km 용·배수로 유지관리로 517천ha에 농업용수 급·배수관리에 소요되는 연 3천300억원의 유지관리 비용에 대하여 2010년 까지는 연평균 1천500억원씩 국고가 지원되다가 2011년에 전액삭감 되었다가 2012년에는 770억원, 그리고 2013년에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전체 유지관리비용의 37.6%인 1천243억원이 지원되고 있어 현실적으로 부족한 국고보조금의 증액확보로 효율적인 농업기반시설 유지관리로 식량생산기반을 확충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미래에 예상되는 식량 무기시대를 대비하여 식량자급율 제고가 꼭 필요하다.



홍병선 농어촌공 예천지사장



153/191, 총 게시물 : 3809
769 제69회 한림원탁토론회 열려 - 아시아경제 관리자 2013-06-11 46 7373
768 2050년 인구 90억명... 식량난 GMO가 열쇠 - 환경일보 관리자 2013-06-11 46 9298
767 ´GMO표시정책´ 국내식량수급·식품산업 측면 고려해야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6-11 47 7022
766 좋은 식품 - 한국식품산업협회 관리자 2013-06-10 1302 6778
765 [월요논단]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3-06-10 46 7201
764 식량안보를 위한 필요충분조건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6-10 46 7216
763 “안전성 확인된 GMO 논쟁은 空論…기후변화속 식량안보 중요”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6-10 47 7669
762 英 환경운동가 "유전자변형식품 반대운동, 인생 최대 실수" - SBS CNBC 관리자 2013-06-06 46 8385
761 “GMO 논란은 현대과학 역사상 가장 심각한 의사소통 실수”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6-06 46 7695
760 英 환경운동가 ″유기농이 GMO(유전자재조합식품)보다 더 위험″ - CNB저널 관리자 2013-06-06 46 7938
759 "GMO(유전자변형식품), 그간 오해… 식량난 막을 해법 될 수 있어" - 조선일보 관리자 2013-06-06 46 8303
758 영국 환경운동가, "GMO 반대 운동은 인생 최대 실수" - YTN SCIENCE 관리자 2013-06-06 46 8720
757 Former anti-GMO activist turns advocate - The Korea Times 관리자 2013-06-06 46 8575
756 Korea Today - Arirang TV 관리자 2013-06-06 46 8081
755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英 환경운동가 마크 라이너스 초청 강연 - CNB저널 관리자 2013-05-31 46 7483
754 일본 식품업계 상미기한 연장 추진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5-30 46 8098
753 [뉴스 와이드]식탁 위 GMO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철호) - 채널A 관리자 2013-05-29 46 8473
752 “GMO의 과학적 진실” 공개된다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5-29 46 7349
751 GMO 표시제도 확대 갑론을박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3-05-27 46 7394
750 식량·곡물자급률 ‘역대 최저’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5-24 46 10939
첫 페이지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