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연구소소개 |연구사업 |학술회의 |소식/안내 |자료실 |동영상/갤러리 |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淸論濁論] - 우리는 식량 안보태세 갖췄나 (칼럼, 김경원 CJ전략기획 총괄 부사장)
[ 2011-03-21 11:20:34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9493        
링크 #1  
http://magazine.joinsmsn.com/economist/article_view.asp?aid=287717# , Hit: 5837
[淸論濁論] - 우리는 식량 안보태세 갖췄나


2010년 우리는 사상 초유의 경험을 했다. 배추 한 통이 1만원 이상으로 급등했고, 대형 유통 매장의 김치 진열대는 한동안 텅 비어 있었다.


최근 잇따른 기상이변으로 세계 식량위기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전망도 밝지 않다. 이미 유엔 FAO(식량농업기구)는 식량 수급 불안과 가격 쇼크 가능성을 경고했다.


주요 농산물 생산국은 내수 공급량 확보를 위해 수출 금지 조치를 단행하고 있다. 식량의 무기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식량 자급률이 매우 낮은 우리나라로서는 위협적인 현실이다. 우리는 해마다 1400만t이 넘는 곡물을 사들이는 세계 5위 곡물 수입국이다. 쌀을 제외한 대부분의 곡물은 95%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곡물 자급률은 25%(사료용 포함) 수준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1개국 중 29위로 최하위 수준이다.


더욱 큰 문제는 주요 곡물의 73%를 곡물 메이저와 일본 종합상사에 기대고 있을 정도로 이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이다. 이런 식량 조달 구조로는 국제 농산물 공급 불안으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키기 어렵다.


여기서 일본의 사례를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본은 곡물 자급률이 우리나라보다도 낮지만 지난해 식료품 가격 상승률은 2%였다. 해외 농업투자를 통해 자국 농경지 면적의 3배 수준인 1200만ha를 확보했고, 일본의 종합상사는 해외 곡물 생산 업체와 계약 재배, 선물 거래 등을 통해 안정적인 수입망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가 식량 안보 차원에서 미쓰비시 등 종합무역상사가 곡물 수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바탕으로 해외 농업투자를 지속적으로 해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현재 우리 정부는 해외 생산기지를 구축하는 해외농업 개발과 해외 유통거점 확보를 통한 국가곡물조달시스템 구축 등 두 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다. 농수산물유통공사(aT)와 민간 업체 컨소시엄이 국가곡물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80년대 국내 종합상사는 곡물 수입팀을 두었다가 사업게 실패하고는 손을 뗀 적이 있다. 관련 당국자의 무지와 비셥조가 가장 큰 문제였다.


식품 산업이 국가적 차원에서 갖는 전략적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저장기술을 활용하면서 식량 비축 능력을 크게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통조림인 '스팸'은 정육점에서 파는 날고기 혹은 훈제 처리한 고기 외에는 없던 1937년 개발됐다. '스팸'은 육류의 유통기한을 크게 늘리고, 저장성을 제고한 획기적인 제품이었다.

우리 정부는 식품산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R&D(연구개발) 지원과 함께 전략적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성공적인 곡물조달 시스템을 구축해 식품업계에 안정적인 원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돕는 가운데 식품의 안전ㅇ적 가격을 유지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가공식품 가격 통제 위주의 식료품 가격 안정화 정책은 실효도 없었고 오히려 식품업계의 체질을 약하게 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코노미스트>



187/191, 총 게시물 : 3809
89 식량->유가->식량 '인플레 악순환' 亞성장 막는다-아주경제 관리자 2011-04-25 47 7385
88 [애그로 비즈시대 열린다]“식량안보 마지막 안전판 해외농업 개발 주저 말라” 관리자 2011-04-25 47 7593
87 세계은행의 식량파동 경고 흘려듣지 말아야- 농민신문 관리자 2011-04-25 47 7438
86 “국가주도 식생활교육계획 수립돼야” - 푸드투데이 관리자 2011-04-21 48 8018
85 [농식품 수확후관리기술] 1. 국내기술 어디까지 왔나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1-04-20 47 7550
84 식량안보 강화 국민 실천운동 나서야-간호사 신문 관리자 2011-04-20 47 7433
83 기후변화에 맞게 식품소비 바뀌어야-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1-04-18 47 7225
82 aT, 국가곡물 조달사업 세부계획 발표-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1-04-18 47 7503
81 식자재 안정조달 체제 구축 시급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1-04-12 47 7607
80 바이오연료 수요로 식량위기 가중-연합뉴스 관리자 2011-04-11 47 7548
79 농식품산업 해외직접투자 확대해야-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1-04-08 47 7400
78 식량자급실천 국민운동- 연합뉴스 관리자 2011-04-07 47 7706
77 식량안보 불감증…이대론 안된다 - 식품저널 관리자 2011-04-07 47 8085
76 “식량위기, 국민실천 통해 극복해야” - 환경일보 관리자 2011-04-07 48 7652
75 식량자급실천국민운동 전진대회 개최-환경일보 관리자 2011-04-07 47 7446
74 식량을 아끼고 낭비하지 말자!-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1-04-07 47 7274
73 "생활 속 식량자급 실천운동 시급"-푸드투데이 관리자 2011-04-01 47 7186
72 [농민신문 사설]식량안보 요체는 식량자급률 제고다 관리자 2011-03-29 47 7340
71 <한국교육신문, 특별기고> 글로벌 식량위기시대, 국민교육으로 대비하자-이철호 관리자 2011-03-21 47 7140
[淸論濁論] - 우리는 식량 안보태세 갖췄나 (칼럼, 김경원 CJ전략기획 총괄 부사장) 관리자 2011-03-21 47 9494
첫 페이지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