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연구소소개 |연구사업 |학술회의 |소식/안내 |자료실 |동영상/갤러리 |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기고]쌀 증산 및 수요 창출 방안 정책제언 - 식품음료신문
[ 2013-04-01 13:24:29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7458        
링크 #1  
http://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430 , Hit: 5465

[기고]쌀 증산 및 수요 창출 방안 정책제언

이철호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이사장(고려대학교 명예교수)
2013년 03월 26일 (화) 11:03:41 식품음료신문 fnbnews@thinkfood.co.kr

   
△이철호 이사장
한국의 식량자급률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곡물자급률은 2011년도의 26.7%에서 지난해에는 22.6%로 감소했다. 쌀 생산량이 2011년의 422만 4,000톤보다 5.2% 감소한 400만 6,000톤에 그쳐 쌀 자급률이 83%로 저하됐다. 2013년도 쌀 민간수요량 전망치 401만 5,000톤에 크게 못미치는 양이다.


정부는 서둘러 매년 4만ha를 대상으로 논에 다른 작물재배를 유도하던 ‘논소득 다양화 사업’ 지원규모를 금년에는 5,000ha로 축소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쌀 생산 억제를 근간으로 하는 기존의 식량정책을 바꾸지 않는 한 우리 쌀의 자급률은 계속 하락할 것이다. 쌀의 수요를 획기적으로 늘리고 쌀 자급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한다.


◇ 저소득 영세민 복지향상을 위한 쌀쿠폰 무상지원 제도 실시


미국의 푸드스탬프 제도를 벤치마킹해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7%에 달하는 기초생활지원자와 차상위계층 저소득 영세민에게 쌀 교환권(쿠폰)을 무상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1인 월 10kg의 쿠폰(120kg/년)을 공급해 연간 42만톤의 쌀을 영세민에게 무상 공급한다. 이를 통해 현재 영세민들이 주로 먹는 라면 등 밀가루 제품의 소비를 줄이고 쌀의 소비를 늘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영세민에 대한 연 42만톤의 쌀 무상 지원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쌀의 10%에 해당되는 양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저소득층에 대한 정부양곡 할인(50%)구입 제도보다 획기적인 복지정책이며, 정부가 최소한 국민의 식량은 책임진다는 박근혜정부의 민생안정 정책의지를 실현하는 것이다.


◇ 쌀의 등급화 유통체계 수립과 완전미 100% 쌀 생산 제도화


쌀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곡의 도정수율을 현행 72%에서 68%로 낮추고 완전미 100%의 쌀 유통을 제도화 한다. 이 과정에서 생산되는 싸래기(쇄미) 24만톤을 전량 쌀가루(미분)공장에 공급한다.


이는 앞으로 예상되는 쌀의 관세화 개방을 대비하여 우리쌀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고 쌀 수요를 5.7% 높이는 효과를 내며, 쌀가공 식품산업의 원료인 미분의 안정적 공급을 보장해 쌀가공 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쌀값을 5.7% 인상하여 농민의 자발적인 협조를 끌어낸다. 영세민에게 쌀이 무상 지원되면 쌀의 고급화를 위한 가격인상은 수용될 수 있으며 우리 벼농사의 국제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 통일을 대비한 쌀 120만톤 비축제도 법제화


한반도 통일 시점에서 부족되는 양곡의 양은 120만톤 정도로 추산된다(한반도 통일과 식량안보, 도서출판 식안연, 2013 참조). 통일을 대비해 현행 양곡관리법에 쌀 비축량 120만톤을 명시한다. 이를 위해 매년 60만톤의 쌀을 2년간 비축하고 2년 후 쌀 가공산업의 원료로 방출한다. 비축쌀 60만톤 중 40만톤은 MMA 수입쌀 전량을 비축용으로 사용하며 국내생산 쌀 20만톤을 추가한다.


이상의 쌀 소비확대로 총 60만톤의 우리쌀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국산쌀의 생산량 목표치를 연간 482만톤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농지확보와 생산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가공산업에 공급되는 총 84만톤의 쌀을 활용하기 위한 대책을 세운다. 현재 쌀 가공산업에 사용되는 연 65만톤의 수요를 획기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으로 특히 즉석밥과 쌀국수의 소비를 확대하는 방안을 수립한다.


쌀이 남아돈다고 생산을 억제하는 기존의 악순환적 미곡정책을 과감히 개편해 생산을 늘리고 수요를 창출하는 선순환적 미곡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 농림축산식품부로 새로 출발하는 박근혜정부의 농정이 농민에게 희망을 주고 국민의 식량안보를 보장하는 새로운 방향으로 가닥을 잡기 바란다.






156/191, 총 게시물 : 3809
709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발족에 즈음하여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4-01 46 7029
708 “기후변화로 2050년 쌀 자급률 55%” 예상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4-05 46 7469
707 “MSG는 평생 먹을 수밖에 없는 발효조미료”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4-05 46 7525
706 “과학적 근거 결론, 못 믿는 사람이 문제”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4-04 46 8006
705 이번 만큼은 유통문제 해결되길 기대한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4-01 46 7527
704 저소득층을 위한 쌀쿠폰 무상지급제도와 거버넌스 - 식품외식경제신문 관리자 2013-04-01 46 7341
[기고]쌀 증산 및 수요 창출 방안 정책제언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4-01 46 7459
702 식량자급률 어떻게 높일 것인가? - 내일신문 관리자 2013-03-30 46 7670
701 식품안전 컨트롤 타워 식품의약품안전처 출범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3-26 46 8855
700 2017년까지 식품산업 현장 전문인력 10만명 양성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3-26 46 7304
699 쌀국수·파스타 우리쌀로 만든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3-26 46 7213
698 “농축산업, 미래산업의 중심으로 키워야”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3-26 46 7237
697 aT, 해외곡물사업 실패 자초했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3-25 46 7109
696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탄생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3-25 46 7242
695 칼로리 자급률 40.2%…사상 최저 뚝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3-22 47 10219
694 우리나라 식량자급률 제고 기반은 논에 있다 - 공감코리아 관리자 2013-03-22 46 8032
693 식량안보기지 연해주가 뜬다 관리자 2013-03-22 46 7609
692 제주서 아시아 개도국의 식량 위기 워크숍 - 연합뉴스 관리자 2013-03-20 46 7168
691 정승 식약처장 “불량식품 근절·식의약품 안전강국 대책 조기마련”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3-19 46 7381
690 “식량전쟁 닥친다 식량안보에 관심 가져야” - CNB 저널 관리자 2013-03-18 46 7259
첫 페이지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