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세계 식량위기 언제 올지 모르는데…가뭄걱정 없는 논 56% 불과 - 농민신문
[ 2013-01-30 10:10:41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8084        
링크 #1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212787&subMenu=articletotal , Hit: 5866

세계 식량위기 언제 올지 모르는데…가뭄걱정 없는 논 56% 불과


농업·농촌 발전방안 토론회
비에 의존하는 논 19만ha…수리시설 보강 시급
논 위 하우스 침수피해 취약…배수기준강화를


 언제 닥칠지 모를 세계적 식량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리시설 확충, 지류·지천 정비 등 국내 농업생산기반을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선주 건국대 교수는 25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농업·농촌 발전방안 정책토론회’에서 “해외농업개발 등을 통해 외국에서 식량을 생산해 국내로 반입하는 것도 식량위기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국내 생산기반을 확충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수리시설물의 내한능력 및 홍수 배제능력 향상, 배수시설 확충 등의 다각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수리안전답 비율 높여야


 농지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야말로 식량 생산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다. 우리나라는 논 관개에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기 쉽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국내 논 가운데 10년 빈도 이상의 가뭄에도 견딜 수 있는 수리안전답은 56%(53만8000㏊)에 불과하다. 19.6%인 18만8000㏊의 논은 아직도 비에 의존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의 논은 내한능력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다.


 김선주 교수는 “가뭄에도 물 걱정 없이 영농을 할 수 있도록 저수지·양수장·취입보 등을 매년 설치하고 있지만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또 현재 있는 시설도 대부분 노후화돼 자연재해에 취약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저수지의 경우 전국적으로 1만7505개 가운데 1945년 이전에 준공된 것이 9082개(51.9%)에 달했고, 50년 이상 경과된 것은 2654개소(15.2%)였다. 30년 이내에 준공된 것은 904개소(5.2%)에 불과했다. 용·배수로의 경우 대부분 구조물이 아닌 토공으로 돼 있어 용수 손실 및 관리비용이 과다한 실정이다.


 ◆상습침수 농경지도 여전히 많아


 물이 없어도 문제지만 너무 많아도 문제다. 우리나라는 1975년부터 상습침수 농경지에 배수장·배수로·배수문 등을 설치해 홍수를 막고 있지만, 최근 국지성 호우 등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강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비닐하우스 및 농경지 침수 등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상습침수지역 23만2000㏊ 가운데 배수장 및 배수시설이 정비된 곳은 15만3000㏊(65%)에 불과하며, 7만9000㏊는 집중호우시 침수위험에 항상 노출돼 있다.


 손재권 전북대 교수는 “기후변화에 따라 가뭄·홍수 등은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수리시설 확충 및 개보수가 시급하지만, 예산문제 등으로 설치기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며 “예산을 대폭 증액하는 등 국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손 교수는 “논에 설치된 비닐하우스는 배수기준이 논에 맞춰져 있어 농가들이 항상 불안한 마음으로 농사를 짓고 있다”며 “이러한 곳에 대한 배수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용직 농어촌연구원 연구기획실장은 “충북의 경우 논에 비닐하우스가 설치된 면적이 350㏊나 되며 이를 50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지만 침수피해 대책은 별로 없다”며 “이에 대비해 우리도 어느 농산물이나 재배할 수 있는 ‘농지범용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은 농경지 57%가 농지범용화돼 있다.


 ◆지류·지천 정비도 필요


 지류·지천은 4대강 본류에 비해 홍수에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수질오염도가 높다. 저수지가 노후화돼 재해에 취약한 상황이다. 김선주 교수는 “정부는 4대강 사업의 하나로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을 추진해 적지 않은 성과를 냈지만, 둑높이기 사업이 더 필요한 지역은 지류·지천”이라며 “이 사업은 홍수와 가뭄 극복을 위해 반드시 추진돼야 할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한국농어촌공사는 2011년 말 ‘저수지 하류하천 자원조사’를 통해 지류·지천 둑 높이기 대상지구 151개소를 선정했고, 2013년 조사·설계를 거쳐 2014년부터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자 했으나 2013년 예산이 반영되지 않아 사업 지연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서륜 기자 seolyoon@nongmin.com




159/191, 총 게시물 : 3809
649 중국, 쌀 순수입국으로…작년 213만t 수입, 수출은 26만t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2-06 46 10805
648 [사설]식품 진흥과 안전업무 분리는시대흐름 역행- 농민신문 관리자 2013-02-05 46 7239
647 밥 안먹는 한국인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2-04 46 8670
646 [시론-현해남]식량전쟁에 대비해야할 농림수산식품부 이름- 농민신문 관리자 2013-02-04 46 7928
645 새누리당 의총서 농업주무부처 명칭변경 논의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2-01 46 7401
644 “농축산물 생산단계 안전관리 농식품부가 계속 수행해야…”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2-01 46 7971
643 축산물 위생·안전관리, 식약처로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2-01 46 8408
642 “반드시 식품 포함, 식품·외식진흥 지속해야” - 식품외식경제신문 관리자 2013-01-31 46 8747
641 [기고]식품의약품안전처를 ‘소비안전처’로 하자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1-31 46 7762
640 농림축산식품부로 변경 한목소리 - 식품외식경제신문 관리자 2013-01-31 46 8610
639 [시론] 인수위 ‘식품안전관리 일원화’의 허구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1-31 46 7226
638 식품산업 진흥정책 일원화돼야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1-31 46 7207
637 골리앗과 대적해야 하는 '종자전쟁' -SBS뉴스 관리자 2013-01-31 46 8452
세계 식량위기 언제 올지 모르는데…가뭄걱정 없는 논 56% 불과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1-30 46 8085
635 [월요논단] 밥 예찬론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3-01-28 47 7641
634 朴당선인 "농림축산부에 식품이 빠진건…" - 매일경제 관리자 2013-01-28 46 7806
633 식량 안보 빨간불 - 신동아 관리자 2013-01-28 46 11033
632 농민단체 ‘농식품부 조직개편’ 집단반발 - 문화일보 관리자 2013-01-24 46 7511
631 식품·외식 정책 어디로 가나… - 식품외식경제신문 관리자 2013-01-23 46 8359
630 식품안전·위생관리 전담 ´농림축산식품부´로 - 농림축산신문 관리자 2013-01-23 46 7471
첫 페이지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