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기회로 다가 온 공적개발원조(ODA) - 파이낸셜뉴스
[ 2012-11-30 14:07:28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7254
링크 #1
http://www.fnnews.com/view?ra=Sent0701m_View&corp=fnnews&arcid=201211200100179320010142&cDateYear=2012&cDateMonth=11&cDateDay=20
, Hit: 5605
[저성장시대 농어촌에 길을 묻다]
(4) 기회로 다가 온 공적개발원조(ODA)
저개발국 농업 인프라 등 지원,식량자급·자원외교 ‘한축’ 담당
우리나라는 공적개발원조(ODA)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첫번째 국가로 국제사회에서 갖는 의미가 크다.
특히 농림수산분야 ODA는 수혜국의 식량문제 등 농업·농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한편 우리 농림수산업의 해외진출과 자원외교의 측면지원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가 추진하는 농림수산분야 ODA 사업은 주로 인프라 건설, 전문가 파견 및 초청연구 등을 패키지화해 지원하는 것이다.
2009년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회의(DAC) 가입을 계기로 정부는 2015년까지 총 국민소득 대비 ODA 비중을 0.25%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ODA 규모는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의 면모에 못미치는 초라한 수준이었다. 2011년 기준 우리나라의 ODA 비중은 0.12%로 DAC 회원국 평균인 0.32%와 유엔 목표치인 0.7%에 크게 못미쳤다.
20일 농촌경제연구원(KREI)에 따르면 원조 규모는 2000년 2억1000만달러에서 2011년 13억2000만달러로 약 6.2배 증가했다. 특히 2011년 국제농업협력예산은 100억달러로 전년 대비 137% 증가했다.
규모의 확대와 함께 ODA 추진 시스템 측면의 개선도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 산림청이 제각각 농어업분야 ODA를 추진하고 있어 해외농업개발사업과 국제협력사업 간 연계가 부족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특히 KREI는 농식품부의 사업이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사업과 내용과 형식 면에서 유사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또 수혜국 여건 등을 감안한 맞춤형 사업절차 및 매뉴얼 마련, 농림수산분야 ODA 전문가 확보와 사업품질관리 체계구축이 미흡한 것도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KREI 관계자는 "사업의 분절화, 파편화로 원조 효과가 낮은 상황"이라면서 "개별부처의 ODA 사업을 국가 차원의 통합전략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지훈 기자
162/191, 총 게시물 : 3809
589
농어업기술 협력, 개발원조의 새로운 방향 - 파이낸셜뉴스
관리자
2012-11-30
46
7385
588
쌀 생산확대 정책 실효성 ‘글쎄’ - 농민신문
관리자
2012-11-30
46
7098
587
국가곡물조달시스템 효율적 운영 방안은…생산보다 물량확보 기능 강화를 - 농민신문
관리자
2012-11-30
46
8276
586
밀 게놈 해독…"식량 안보에 돌파구" - SBS뉴스
관리자
2012-11-30
46
7159
585
수입쌀 ‘밥상공략’ 거세졌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2-11-28
46
7925
584
한국 곡물자급률 20년 새 반 토막 - 아시아투데이
관리자
2012-11-28
46
7375
583
식량확보, 국가의 존망이 걸렸다 - 파이낸셜 뉴스
관리자
2012-11-28
47
7259
582
미래 식량 안보와 생명공학 - 공감코리아
관리자
2012-11-28
46
10174
581
식량위기 대응하여 주요국과 농업 및 식량안보 협력 나서 - 공감코리아
관리자
2012-11-28
47
7172
580
식품 이물관리 “시장 자율에 맡겨야”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2-11-26
46
8535
579
<식품칼럼>또 중심을 잃어버린 식약청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2-11-26
46
7293
578
쌀 생산량 32년만에 최저치, 두고만 볼 것인가 - 울산매일
관리자
2012-11-21
46
7520
577
[‘흙을 살리자’ 심포지엄]식량안보의 첫걸음 ‘흙을 살찌우자’ -농민신문
관리자
2012-11-21
46
7407
576
쌀 생산기반 유지는 식량안보의 관건 - 연합뉴스
관리자
2012-11-21
46
9326
575
곡물 78%·쇠고기 45%가 수입산… '밥상 주권' 위기 - 조선일보
관리자
2012-11-21
46
9418
574
[화제포착] 달콤·쫀득! 쌀 요리의 세계 - KBS 뉴스
관리자
2012-11-19
46
8666
573
세계화와 로컬 푸드 - 고대신문
관리자
2012-11-15
47
7416
572
“식품 이물질, 철저히 관리해도 완전제거 불가능” - 환경일보
관리자
2012-11-14
46
8921
571
“식품 이물 자율관리로 전환을”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2-11-14
46
7253
570
식약청의 원칙 없는 정책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2-11-13
46
7311
첫 페이지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