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제 7회 식량안보세미나’ 개최 - 식품외식경제
[ 2012-07-11 15:37:51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8023        
링크 #1  
http://www.foodbank.co.kr/news/view.php?secIndex=32823&page=1&back=S&syear=&smonth=&sday=&eyear=&emonth=&eday=&lcart=&mcart=&subj=식량안보&contents=&writer=&sort=&serial=&keyfield=&key=§ion=001002 , Hit: 6199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제 7회 식량안보세미나’ 개최


“통일 대비 식량 확충 구체적 방안 필요”
한반도 통일 후 식량안보와 식품산업 발전전략 토론회 열어
▶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은 ‘한반도 통일 후 식량안보와 식품산업의 발전전략’을 주제로 지난 3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세미나를 가졌다.
한반도 통일 후 우리나라 식량사정은 어떻게 될까? 이같은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한 자리가 지난 3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렸다.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이사장 이철호)은 제7회 식량안보세미나 ‘한반도 통일 후 식량안보와 식품산업 발전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이하 재단)이 주최하고,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 한국식품산업협회가 후원한 이번 세미나는 재단이 지난 1년 동안 한반도 통일 후 식량안보와 식품산업 발전전략에 대해 연구한 것을 토론하는 자리로 마련된 것이다.


이 연구는 여섯 명의 전문가가 팀을 구성해 남북한의 식량 영양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2015년 통일을 가상해 통일 직후와 통일 10년 후의 한반도 식량 생산 및 식량수급 전망을 예측했다.


이철호 재단 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최근 한반도 통일의 기운이 여러면에서 감지되고 있으나, 국가경영의 가장 기본이 되는 식량 수급에 관한 예측이나 식량 확충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라면서 “농업 부문에 국한했던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농수산업과 식품산업을 포괄하는 식량산업 전체를 대상으로 통일 이후의 수요전망과 잠재 생산능력을 예측하고 이로부터 우리의 통일 준비 상황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토론회를 통해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관련 학계, 연구소, 정부 및 산업 부문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해 최종적인 연구결과를 내 우리나라 장기 식량정책 수립에 크게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박인구 한국식품산업협회 회장은 축사를 통해 “통일이 눈앞으로 다가온 지금 안정적인 식량공급을 확보하는 문제는 통일을 지향하는 우리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라면서 “이번 식량안보 세미나를 통해 한반도 통일 후, 식량 자급목표를 설정하고 농업생산기반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등 여러 가지 대책들을 논의하고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주제발표 “통일 후 남북 영양균형 노력해야”



이날 주제강연은 신동화(신동화식품연구소 소장)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사회로 남북한의 식량 및 영양 현황 비교’(이철호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이사장), ‘남북한 농업생산 잠재력 평가’(문헌팔 북방농업연구소 연구위원), ‘남북한 어업생산 잠재력 평가’(김세권 부경대 해양바이오연구단 단장), ‘통일 후 한반도 식량수급 예측’(김용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글로벌협력본부 선임연구위원), ‘남북한 식품산업의 현황과 식량안보적 기능’(박태균 중앙일보 기자), ‘통일 후 식품산업 규모변화와 발전 방향’(권익부 ILSI Korea 이사장) 등의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이철호 재단 이사장은 주제 발표에서 “남한에서는 영양분 과잉으로 비만율이 문제이며, 북한에서는 영양분이 부족해 만성영양실조에 걸린 어린이들과 결핵환자율이 문제”라며 “통일 이후 어떻게 영양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노력할 것인가하는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결과로 ‘한국인의 최적 식량소비 모델’을 선보이면서 쌀은 현재의 2배를 섭취해야 하며, 동물성 식품의 소비를 절반으로 줄이고, 식품섭취량을 하루 1천g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밝혔다.


권익부 ILSI Korea 이사장은 “식품 가공산업의 발달은 북한의 많은 노동력을 흡수가능하게 할 것”이라면서 “통일 후 취업을 늘리고, 창업 의욕성취를 위해 북한으로의 프랜차이즈업 도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종합토론, 통일 후 최적식량소비 모델 제시



이어진 종합토론에는 좌장을 맡은 권태진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선임연구위원)를 중심으로 강명옥 사무총장(민족사랑나눔재단), 김경량 교수(강원대 국제농촌개발협력사업단 기업장), 김응본 과장(농림수산식품부 식량정책과), 양승용 교수(고려대 식품자원경제학과), 윤지현 교수(서울대 식품영양학과), 최근원 처장(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량관리처)은 지정토론자로 참석해 이날 주제강연으로 열린 발표를 토대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토론회에서 김응본 농식품부 식량정책과 과장은 “통일 후 최적식량소비 모델이 제시되고, 남북한의 통합적인 수산자원 생산잠재력 평가분석을 통한 통계자료가 제시된 점 등은 흥미로웠다”면서 “다만 국내에서 경종농업 육성을 통해 식량자급률을 높이고자 하는 부분에서 국민적 공감대 형성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어 단순한 자급률 위주의 식량안보 파악보다는 통일 후 어디에서 식량을 확보해 어떻게 북한 주민에게 공급할 것인지에 대한 자료수집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윤지현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지금껏 북한의 식량문제에 있어 곡물적인 측면에서만 다뤄진 점이 없지 않았었는데, 오늘 주제발표를 통해 육류·수산물까지 고려가 돼 더 의미가 있었다”면서 “식량 관련 연구나 정책이 남한중심으로 치우치지 않고 북한 주민 식생활의 특수성도 충분히 고려한 뒤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된 정책이 준비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사윤정 기자
sujau@foodbank.co.kr



168/191, 총 게시물 : 3809
469 美 최악의 가뭄 연말까지?…세계식량위기 ‘적색경고등’ - 헤럴드경제 관리자 2012-07-20 46 7515
468 美 가뭄, 새로운 글로벌 식량위기 부르나-뉴스핌 관리자 2012-07-20 46 11650
467 "식량·자원 부족, 뉴질랜드와 협력으로 해결" - 연합뉴스 관리자 2012-07-19 46 7801
466 짐 로저스 "식량위기 심각…앞으론 농부가 리더" - 노컷뉴스 관리자 2012-07-19 46 8557
465 러·카자흐도 곡물생산 `빨간불`..커지는 식량대란 우려 - 이데일리 관리자 2012-07-18 46 7274
464 [곡물 쇼크]①시들시들 세계 경제 치명타 맞나 - 이데일리 관리자 2012-07-18 46 7332
463 [곡물 쇼크]②장기화 대비한 식량주권 확보 시급 - 이데일리 관리자 2012-07-18 46 7003
462 국제 곡물가 상승 우려…농식품부, 밀 자급률 향상시킨다 - 메디컬투데이 관리자 2012-07-18 46 7001
461 박준영 “20년후 식량위기…식량자급률 50%까지 올릴 것” - 폴리뉴스 관리자 2012-07-18 46 7162
460 세계 곡물가격 불안정에 따른 적극적인 대책 마련돼야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2-07-17 46 7029
459 세계 곡물 가격 천정부지…서민 밥상 '흔들' - Chosun.com 관리자 2012-07-16 46 8434
458 이상고온 국제 곡물가격 껑충… 연말 물가 비상? - 서울신문 관리자 2012-07-16 46 7879
457 “곡물가격 오르지만 글로벌 식량위기 없을 것” - 파이낸셜뉴스 관리자 2012-07-16 46 7046
456 3차 식량위기 올까? - 아시아경제 관리자 2012-07-16 46 6873
455 19대 국회 상반기 농림수산식품위원회 명단 - 푸드투데이 관리자 2012-07-12 46 7774
454 19대 국회 상반기 보건복지위원회 명단 - 푸드투데이 관리자 2012-07-12 46 8335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제 7회 식량안보세미나’ 개최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2-07-11 46 8024
452 세계 곡물시장에 국내 대기업이 뛰어든다 - 한국일보 관리자 2012-07-11 46 7806
451 FAO "어류 포획량 급증세…식량안보 위협" - 연합뉴스 관리자 2012-07-11 46 7253
450 통일 후 식량 문제 심각, 통일 이후 대책 시급 - 환경일보 관리자 2012-07-11 46 7008
첫 페이지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