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2011년 식품 이물 발생, 전년 대비 34.5% 급감 - 식품의약품안전청
[ 2012-02-13 11:49:47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9061        
링크 #1  
http://kfda.korea.kr/gonews/branch.do?GONEWSSID=Y9NpP46BVvFX7DnPtXVvwyMhnBp8J82dDDbDVkJLs3ynchV4QyJt!-983906632!-1255162070&act=detailView&dataId=155810630§ionId=p_sec_1&type=news&flComment=1&flReply=0# , Hit: 6393

2011년 식품 이물 발생, 전년 대비 34.5% 급감
- 식품이물 보고 의무화 및 이물 저감화 영향 -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해 식품이물 혼입 저감화 노력으로 2011년 식품 이물 발생 건수가 5,631건으로 전년(8,599건)보다 34.5% 감소했다고 밝혔다.


식품업체 보고의 경우 2011년 4,119건으로 전년(6,258건) 대비 34.2% 줄었으며, 소비자 신고도 지난해 1,512건으로 전년(2,341건)에 비하여 35.4% 감소했는데, 이는 식품업체 이물 보고 의무화(2010.1) 이후 지속적인 원인 규명을 통한 이물 혼입 경로의 차단 및 업체의 이물 관리 노력의 결과로 판단된다.


※ 그간 품목별 이물 혼입방지 가이드라인, 이물 제어장치 운용 및 이물 저감화 매뉴얼 등 개발·보급, 업체 자율 이물관리 협력 네트워크 운영 등 업체의 이물 관리 기술 지원


식품이물 혼입 원인이 파악된 경우는 총 1,245건으로 이 중에서는 소비단계(472건) > 제조단계(431건) > 유통단계(342건) 순으로 나타났고, 혼입 원인이 파악되지 않은 이물 발생 건의 경우 원인불명(3,138건)과 조사불가(1,109건) 등이며, 현재 139건의 조사가 진행중이다.


원인불명은 유리조각, 금속, 플라스틱, 벌레 등 이물의 특성상 제조·유통·소비단계 모두에서 혼입될 가능성이 있어 명확한 인과관계를 입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이며, 조사불가는 이물분실·훼손, 영업소 폐쇄, 소비자 조사 거부 등이 원인이다.


식품이물의 종류로는 벌레(2,831건, 50.3%) > 곰팡이(557건, 9.9%) > 금속(553건, 9.8%) > 플라스틱(312건, 5.5%) > 유리(84건, 1.5%) 순으로 발생된 것으로 확인됐고, 벌레의 경우 소비·유통단계 혼입율(533건, 19.4%)이 제조단계 혼입율(103건, 3.7%)보다 높게 나타났다.


※ 제조단계에 농산물 등 원재료에서 이행되거나 유통·판매업체 또는 소비자가 식품을 보관하는 과정에 부주의로 혼입


곰팡이는 유통단계(109건, 20%)에서 많이 발생하고, 제조단계(74건, 13.6%)에서도 상당수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고, 금속이나 플라스틱은 제조단계 혼입율(각 6.6%, 9.4%)이 소비단계 혼입율(각 5.2%, 3.3%)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 곰팡이는 포장지 밀봉 불량, 유통 중 용기·포장 파손 또는 뚜껑 등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주로 발생


※ 금속, 플라스틱은 제조 과정의 거름망, 세척용 브러쉬, 소비자 조리기
구 등에서 혼입


식품종류별로는 면류(1,374건, 24.4%) > 커피(579건, 10.3%) > 과자류(570건, 10.1%) > 음료류(427건, 7.6%) > 빵·떡류(347건, 6.2%) 순으로 이물이 많이 발생했다.


면류에서 보고(신고)된 이물은 1,374건으로 이 중 유통단계(126건)에서 이물이 혼입된 비율이 9.4%정도로 다른 식품 종류에 비하여 높았으며, 커피는 579건이 보고(신고)됐으며, 이 가운데 소비단계(38건)가 6.7%로 비율이 높았고, 과자류는 제조단계, 음료류는 소비·유통단계에서 혼입이 많이됐다.


식약청은 "올해에도 이물 관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의 이물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업계 이물 관리 협력 네트워크’를 운영하여 업계가 자율적으로 이물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물 혼입 경로에 대한 보다 명확한 원인규명 및 판정을 위하여 이물 조사자에 대한 전문화 교육과 산·학·연 합동으로 이물조사판정위원회구성을 확대하여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비자도 식품 구매 시 포장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개봉한 식품은 가능한 한번에 섭취하되, 부득이 개봉한 식품을 보관할 때는 잘 밀봉하여 청결한 장소에 보관할 것"을 당부했다.


첨부파일 :
2.8_식품관리과-1.hwp

첨부파일 :
11년이물혼입제품현황(첨부2).hwp




172/191, 총 게시물 : 3809
389 다시 꿈틀대는 국제 곡물가격 - 기호일보 관리자 2012-02-27 46 7655
388 강원도 옥수수 캄보디아·연해주서 생산 - 강원일보 관리자 2012-02-23 46 9226
387 “논·밭 함께 쓰는 전천후 영농 이뤄야” - 서울신문 관리자 2012-02-22 46 13810
386 가공식품 수입은 늘고 농임산물 수입은 줄고! -식품의약품안전청 관리자 2012-02-20 46 8864
385 식량가격지수, 2012 소폭 상승세 출발 - 매일경제 관리자 2012-02-14 46 7582
384 올 농수산식품 R&D에 1,522억원 투자 - 식품저널 관리자 2012-02-13 47 9036
383 식량 위기 대응 해외 농업개발 활성화 방안 논의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2-02-13 46 7777
382 국산 밀 소비촉진 위해 올해 5억7천만원 투입키로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2-02-13 46 9650
381 [사설]유전자변형 농산물에 점령당하는 식탁 - 농민신문 관리자 2012-02-13 46 8026
2011년 식품 이물 발생, 전년 대비 34.5% 급감 - 식품의약품안전청 관리자 2012-02-13 46 9062
379 ADB, 동남아 지역 식량가격 상승 우려 - 아시아경제 관리자 2012-02-10 46 7733
378 유통기한 50일 지난 우유 먹는다면 과연… - 중앙일보 관리자 2012-02-08 46 9206
377 식품 유통기한 논란…변질 속도 조사해보니 - SBS 뉴스 관리자 2012-02-08 46 12096
376 가공식품, 유통기한 지나도 안전? - KBS 뉴스 관리자 2012-02-08 46 9427
375 농민단체 5대 요구 농식품부 "수용 불가" - 조선일보 관리자 2012-02-07 46 7802
374 국산밀 100% 제조업체 수매…정부는 ‘뒷짐’ - 메디컬투데이 관리자 2012-02-07 46 7907
373 제2의 농지개혁이 필요하다 - 경향신문 관리자 2012-01-26 46 7833
372 정책연구소 ‘녀름’ 현 정부 농업·농촌예산 들여다보니 - 농민신문 관리자 2012-01-19 46 8052
371 인위적인 물가안정대책 능사 아니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2-01-17 46 7441
370 물가안정대책과 생산안정대책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2-01-17 46 7578
첫 페이지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