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15년까지 국산밀 자급률 10%를 목표로 소비촉진 사업 등을 시행하고 있지만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하지 않고 있어 식품업계의 비난을 사고 있다.
◇ 국산밀 가격경쟁력, 정부 ‘나 몰라라’
앞서 농림수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해 7월 ‘식량자급률 목표치 재설정 및 자급률 제고방안’을 발표했으며 2015년까지 밀 자급률을 1%에서 10%로 대폭 상향 조정한 바 있다.
농식품부는 수확시기를 6월 상순에서 5월 하순으로 앞당긴 품종의 개발∙보급과 계약재배 활성화를 위한 밀 가공업체의 원료곡 구입자금 지원확대 등을 통해 계약 재배 면적을 2011년 1만3000ha에서 2015년 5만3000ha로 2020년 9만7000ha까지 늘려나가 생산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수입밀과 비교해 가격경쟁력에서 뒤쳐지는 국산밀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정부는 국산밀 수매를 제조∙유통업체에만 떠넘기고 뒷짐을 지고 있는 형국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수매와 관련해서는 현재 보리수매도 폐지되는 상황에 새로운 예산을 편성하기는 어렵다”며 “밀 자급률 향상을 위해 정부는 기반을 조성해 주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국내 최대 밀 생산지인 전라남도는 2009년 1525ha였던 밀 재배면적이 지난해에는 5630ha까지 늘어난데 이어 올해는 7493ha라고 밝혔으며 이는 100% 제조∙유통업체와의 계약생산이다.
전라남도 친환경농업과 관계자는 “현재 국내 밀 생산은 전부 CJ나 밀다원, 생협 등 업체와 계약생산을 하고 있다”며 “지난해 기상악화로 작황이 좋지 않아 밀 재배 농가들에 재배복구 지원을 한 바 있다”고 말했다.
◇ 밀 자급률 향상, 가격경쟁력 우선돼야
국산밀의 자급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선 수입밀과의 가격경쟁력이 우선돼야 한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지난해 6월 기준으로 급식물품 시장가격 조사에 따르면 수입밀은 1㎏에 1259원인 반면 국산밀은 4010원으로 3.2배가 높았다.
우리밀 밀가루와 찰밀가루 등 국산밀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CJ제일제당은 앞서 보도된 수매중단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으며 이어 국산밀은 수입밀과의 가격경쟁력에서 크게 떨어진다며 품종개량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앞서 수매를 중단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라며 “2009년 4600톤의 규모로 수매를 시작해 2010년 7500톤, 2011년 8500톤으로 수매량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산밀 사업은 현재 걸음마 단계로 수입밀과의 가격경쟁력에서 크게 떨어진다”며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선 졸속추진보다 구조적인 문제점이 개선돼야 하며 정부가 나서서 품종개량 등 물리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식품업계 관계자들은 국산밀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선 단순한 홍보차원의 사업은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으며 정부가 수매에 나서 가격경쟁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의 경우 정부가 국산 밀을 전량 수매하고 가격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수매를 비롯해 홍보까지 전부 업체에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최근 우리 식습관이 서구화 돼 빵 소비량이 늘고 있지만 국산밀은 글루텐 함량이 적어 빵을 만들기엔 적합하지 않다”며 “품종개발 또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