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식량위기 우려"..2015년 곡물자급률 30%로 상향 -아시아경제
[ 2011-06-27 13:23:39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7899        
링크 #1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62706575341785 , Hit: 5860

"식량위기 우려"..2015년 곡물자급률 30%로 상향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정부가 국제적 식량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곡물자급률 목표치를 대폭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201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 목표치는 25%이나 정부는 이를 30%로 5% 포인트 상향조정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곡물자급률은 26.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권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006년에 설정한 '2015년 곡물 및 주식자급률 목표치'를 대폭 수정하고, '2020년 목표치'는 새로 설정해 내달 초 발표할 계획이다. 곡물자급률은 국내에서 생산된 곡물량을 소비된 곡물량으로 나눈 값으로 식량 수급 정책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고 있다.



조정안에 따르면 정부는 2015년 '곡물자급률 목표치'를 기존 25%에서 30%로 5%포인트 상향 조정하고, 2020년 목표치는 이보다 2%포인트 더 올려 32%로 설정했다. 주요 곡물인 밀의 자급률은 현재 1.7%에서 10%로, 보리는 27.8%에서 31%로, 콩은 31.7%에서 36.3%까지 각각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곡물자급률을 식용(가공용 포함), 사료용 등 2가지로 구분하고, 건초 등과 같은 보조사료를 포함한 목표치도 새로 설정키로 했다.


곡물자급률에서 사료ㆍ공업용을 제외한 식량자급률의 목표치는 2015년 60%, 2020년 65%로 각각 설정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54.9%였다. 쌀만 104.6%로 자급이 가능했을 뿐 밀(1.7%)ㆍ옥수수(3.8%)ㆍ보리(27.8%)ㆍ콩(31.7%) 등 주요 곡물은 평균 10.6%에 불과해 해외의존도가 높다.


또 쌀과 맥류(밀+보리)를 주식으로 분류해 자급률을 계산한 '주식자급률 목표치'는 당초 목표치(54%)보다 대폭 상향한 70%로 조정했다. 보리는 지난해 1인당 소비량이 1.3kg에 불과해 산출대상에서 제외키로 했다.


올 초 미국 농무부(USDA)가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곡물자급률은 26.7%로 OECD 33개 회원국 가운데 28번째로 꼴찌나 다름없다. 호주(176%), 프랑스(164%), 미국(150%), 캐나다(143%) 등의 '농업 선진국'까지는 아니더라도, 곡물자급에 비상이 걸린 일본(25%)과 비슷한 수준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은 과잉상태지만 나머지 밭작물은 자급률이 낮아 국내 식량안보 여건이 여전히 취약하다"며 "주요 곡물의 생산·유통·소비기반을 다져 취약한 식량안보를 높이기 위해 (자급률)목표치를 재설정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 '곡물자급률 목표치'는 2006년 처음 설정돼 다음해인 2007년 '농업·농촌발전 기본계획'에 반영됐으며, 5년마다 10년 후의 자급률 목표치를 재설정하도록 돼 있다.


2006년에 첫 설정된 2015년 곡물자급률 목표치는 25%로 돼 있는데, 당시 기준 연도로 삼았던 2004년 곡물자급률(26.8%)보다 오히려 낮게 설정해 농민단체와 국회로부터 비판을 받았고, 2008년 애그플레이션에 이어 지난해 국제곡물가 상승으로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자급률을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고형광 기자 kohk0101@




182/191, 총 게시물 : 3809
189 aT "식량안보 전문기관으로 재탄생" - 이데일리 관리자 2011-07-07 46 7983
188 종합상사, 해외 곡물자원 확보 팔 걷었다 - 서울경제 관리자 2011-07-06 1648 12096
187 [사설]식량주권 담보할 새로운 무역질서의 당위성 - 농민신문 관리자 2011-07-06 46 7604
186 “WTO 체제로 곡물 수급 불안 심화” - 농민신문 관리자 2011-07-04 46 8019
185 옥수수 기말재고율 ´사상 최저´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1-07-04 46 11323
184 식량자급률 목표치 상향, 배경과 방향은 - 농민신문 관리자 2011-07-01 46 7496
183 "국제곡물가격 강세 2020년까지 지속된다" - 연합뉴스 관리자 2011-07-01 46 8893
182 [사설]콩을 배제한 식량안보는 허구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1-07-01 46 7644
181 [Who]짐 로저스 회장, 식량위기 경고 - 아시아경제 관리자 2011-06-30 46 9005
180 “어린이 입맛이 식량위기 구한다” - 내일신문 관리자 2011-06-30 46 8834
179 고공행진 국제곡물가, 상승추이 장기전···식량구축 위한 대책은? - 해외경제 관리자 2011-06-30 46 8798
178 식량자급률 목표치 높인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1-06-29 1723 16966
177 세계 식량안보 논의 본격화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1-06-28 46 7314
176 FAO 새 사무총장 "곡물가격 수년간 상승" - 연합뉴스 관리자 2011-06-28 46 8955
"식량위기 우려"..2015년 곡물자급률 30%로 상향 -아시아경제 관리자 2011-06-27 46 7900
174 <시론> 국제곡물회사에 대한 기대와 우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1-06-27 46 7585
173 너무 오른 곡물값 대응책 찾는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1-06-23 46 7625
172 사르코지 "식량가격 급상승은 역병" - WOW한국경제TV 관리자 2011-06-23 46 7644
171 식량위기는 올 것인가 (RDA 인테러뱅) -농촌진흥청 관리자 2011-06-22 46 8575
170 식량위기는 올 것인가? 비관론 VS 낙관론 - 연합뉴스 관리자 2011-06-22 46 7959
첫 페이지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